안녕하세요 삼성잡스입니다. 오늘은 심근경색 전조증상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심근경색은 초반에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병입니다. 전조증상을 하나하나 알아보고 본인의 상태가 의심된다면 빠른 병원방문을 통해 초기에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심근경색이란?
심근경색은 심장근육의 혈액공급 부족으로 인한 손상을 나타냅니다. 혈관에 혈전이나 동맥 내에서 혈액의 흐름이 차단되는 경우 발생하며 심장 근육의 일부가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순환장애를 방치하면 심근 전층에 괴사가 일어나 발작성으로 쇼크상태가 되는 위험한 심장질환인만큼 치사율 또한 높습니다. 심근경색을 조심해야 할 주요 세대층은 중년 이후의 남자분들이며 관상동맥 경화증 등에 수반되는 일이 많고 과로가 원인이 되기 쉽습니다. 첫 발작 중에 사망하는 경우는 20%이고 수년 이상 생존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합니다. 심근경색의 주된 원인으로는 고혈압. 흡연, 고지혈증, 당뇨병, 비만, 가족력으로서 부모나 형제 중 심장병과 뇌졸중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근경색의 전조증상
심근경색이란 게 어떤 것인지 알아봤으니까 이제 전조증상을 같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가슴에서 팔과 등, 턱으로 퍼지는 통증
가슴에서 시작한 통증이 등과 어깨, 턱으로 퍼지는 통증을 경험할 때 뼈와 관련된 통증으로 생각해서 정형외과를 찾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고령환자나 당뇨병환자, 중년이상의 남성분들은 심근경색의 전조증상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가슴 통증이나 호흡곤란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 주세요.
2. 가슴 답답함, 호흡곤란
왼쪽 가슴이 체한 것처럼 답답하거나 무겁게 느껴지고 숨을 쉬기가 어렵거나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증상이 보이면 심근경색을 의심해 주세요. 특히 호흡곤란과 함께 가슴통증이 느껴진다면 바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3. 구역질, 구토
금성심근경색의 약 25%는 가슴통증이나 호흡곤란을 동반하지 않고 구역질과 구토증상만 나타난다고 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더 흔하고 많은 사람들이 이 증상을 소화불량이나 위산역류 등으로 오해하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치료시기를 놓치면 더욱 위험해지는 것이 심근경색입니다. 가슴이상과 함께 메스꺼움 증상이 나타난다면 병원을 바로 방문해 주세요.
4. 식은땀
앞가슴에 통증이 20분 이상 지속되고 식은땀이 나면서 얼굴이 새파랗게 변한다면 급성 심근경색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방치하지 말고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심근경색 예방방법
심근경색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1. 금연하기
첫 번째는 담배를 피우지 않는 것입니다. 액상형 전자담배나 가열담배 등 어떤 유형의 담배도 심근경색으로부터 안전하다는 근거가 없고 오히려 증상만 악화시킬 뿐입니다. 보통 전자담배는 일반 담배보다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잘못된 생각입니다. 어떠한 유형의 담배도 피우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2. 술 마시지 않기
음주 또한 건강을 해치는 원인입니다. 하루에 한두 잔은 괜찮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하루 한두 잔이라도 심근경색예방에 어떠한 도움도 되지 않으므로 금주를 하는 것을 권합니다. 건강이 가장 중요한 법 이니까요.
3. 규칙적인 운동습관 들이기
운동만큼 건강한 습관이 없겠죠. 매일 30분 이상의 규칙적인 운동은 건강을 지키고 심근경색을 예방하는 데 매우 좋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주 5일, 하루 30분 이상 빠르게 걷기, 조깅, 자전거 타기, 수영, 에어로빅, 체조 등과같이 숨이 차는 유산소 운동과 적절한 근력운동을 섞으면 가장 좋습니다.
4. 짜게 먹는 습관 버리기
평소 음식을 짜게 먹는다면 고혈압과 심혈관계 질환뿐만 아니라 신장질환, 골다공증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위 점막을 약화시켜 위암이 발병되기 쉬운 환경을 조성합니다. 짜게 먹어서 건강에 도움 될 것이 하나도 없으니 자극적인 음식을 먹는 습관을 버려주세요.
5. 적정체중 유지하기
비만은 심뇌혈관진질환 발생률과 사망률을 높입니다. 특히 복부비만이 가장 위험하니 적절한 운동과 식단관리를 통해 적정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아 청소년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어지기 쉬우니 적극적으로 관리해 주세요.
6. 스트레스 관리 잘하기
스트레스 관리도 매우 중요한데요, 스트레스로 인해 혈압이 상승하면 부정맥, 동맥경화의 위험이 커집니다. 스트레스로 인한 흡연, 음주, 폭싱 등도 위험요소가 되기 때문에 주의해 주세요. 하루에 30분 이상 자연에 나가서 걷고 햇빛을 받으며 심호흡을 하면 스트레스가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또한 건강한 음식을 요리해 먹으면 행복지수가 올라간다고 하니 참고해 주세요.
7. 정기적인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 검사받기
건강검진을 받듯이 정기적으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 검사받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심근경색은 초기에 잡을수록 좋으니 만약 검사에 이상이 있다면 빠른 치료를 받는 것이 현명하겠죠?
8. 채소와 생선 섭취
채소나 생선을 섭취하여 심근경색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등 푸른 생선인 고등어, 청어, 참치, 삼치 등은 지방을 저하시키고 혈전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푸른 채소에는 비타민C, 베타 카로텐, 비타민E 등이 풍부하여 동맥경화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심근경색의 전조증상과 예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심근경색은 방치하면 쇼크로도 이어질 수 있는 무서운 질환이니 우리의 평소 습관을 바꾸어 건강한 삶을 사는 것이 좋겠죠? 저는 다음에 더 유익한 포스팅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이 블로그의 다른 글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에 안좋은 음식 (27) | 2023.09.06 |
---|---|
무릎에 물 찼을때 증상, 물차는 이유, 생활습관 개선 (35) | 2023.09.05 |
같이 먹으면 안되는 영양제 (34) | 2023.09.03 |
다이어트할때 먹어도 되는 간식 추천 (31) | 2023.09.01 |
숙취 두통, 숙취 빨리 없애는 법, 숙취에 좋은 음식 (30) | 2023.08.31 |